근세 후기의 조경culture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09-17 16:20
본문
Download : 근세 후기의 조경문화.hwp
화방재의 동쪽에는 소가정(小柯庭)이 있는데 뜰에는 가산이 있고 뜰 앞에는 회화나무가 있다 화방재의 남쪽에 있는 호복간(濠濮澗)은 못과 수사를 중심으로 하는 경원이다. 향산이 란 이름은 그곳에 있던 향산사에서 따온것이며 여기에는 수많은 절, 산장,…(투비컨티뉴드 )
근세 후기의 조경culture에 대한 글입니다.
* 북안(北岸)지역 : 경청재를 비롯하여 징관당, 오룡정, 소서천등이 있는데 무엇보다고 이 지역의 명 물은 구룡벽(九龍壁)인데 나비 25.52m, 높이 6.65m, 벽두께 1.42m의 크기를 갖춘 구룡벽은 보라, 노 랑, 오렌지, 적갈, 청, 녹, 백등 7색 유리판으로 되어 있다
- 중해 : 근정전등 몇개의 궁전이 있고 호수안에는 연꽃잎과 갈대가 무성하다 호심(湖心)에 수운정 (水雲亭)이 있으며 그 안에는 “태액추풍(太液秋風)”이라 새겨진 석비가 있다
나. 이궁(離宮)
청조의 이궁은 강희, 건륭시대에 많이 축조 되었는데 그 중 건륭시대에 만든 “만수산청란원”, “옥천 산정명원”, “향산定義(정이)원”, “원명원”, “창춘원”을 일컬어 三山五園이라하여 궁원의 대표적인 명원으로 꼽 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소실되고 현재 피서산장과 이화원만이 남아 있다
◆ 향산定義(정이)원(香山靜宜園)
북경 서쪽 교외의 수려한 자연경관속에 꾸며진 왕궁속의 원림이며 면적은 158ha에 이른다.
* 동안(東岸)지역 : 이곳에는 잡단, 화방재, 호복간등의 건물이 있으며 화방재의 안뜰에는 방지가 있 다.동양조경사4 , 근세 후기의 조경문화인문사회레포트 ,
레포트/인문사회
다.
설명
동양조경사4






근세 후기의 조경culture
Download : 근세 후기의 조경문화.hwp( 98 )
,인문사회,레포트
순서
* 경화도(瓊華島) : 삼신선도의 하나인 봉래도를 상징한 것으로 단성(團城)쪽에 있는 정문으로부터 들어오면 길이 80m의 영안교(永安橋)라는 백색의 석교가 나타나는데 양편에 퇴운, 작취의 패(牌)가 서 있다 한편 다리를 건너 경화도에 이르면 남쪽으로 향하는 주건축물이 나타나고 산위에는 높이 35.4m의 티벳식 라마탑(백탑)이 솟아 있는데 북해공원의 랜드마크 역활을 한다.
근세 후기의 조경문화에 대한 글입니다.